교육과정_기록

개발자 교육을 듣고 있는 당신을 위해[4] - 프로젝트를 구상한다면

itsnot4me 2025. 6. 16. 22:10

 우선 바빴습니다 매일 쓰겠다는 각오는 ㅡ4일이나 사라지고는 ㅡ코테는 그래도 풀었다는 것, 교육은 평일이라면 여전히 9 to 6기 때문에 무엇도 안하고 있을 순 없었다는 점 변명 그래도 나한테는 미안..

 

-

나한테만 미안 (가사임)

 

대체로 학원의 이 즈음이 되면(2달 남은) 혹은 이전에 프로젝트를 구상하라고 할텐데, 어떤 흔한 게 떠오를 수도 있고 정말 나만의 뭔가 반짝거리는 아이템이 떠오를 수도 있겠지만..

 

근데 내가 뭘 만들 수 있지?

 

 

 "정답은 무엇이든 만들 수 있다" 혹은 "그 무엇도 만들 수 없다" 대체 뭘 해야하는지 감도 안 올 것이다.

사실 주제 관련한 건 GPT한테 막 던져달라고 해도 막 던져준다. 단지 기능적으로 어떻게 그게 구현될지 혹은 구현할 수 있을지 감이 안 오니 자신있게 내밀 수 없는 것

 

'웹 프로젝트 예제' 나오는 수많은 선배님들은 오히려 목을 조른다

 

웹 프로젝트 만들기 < 키워드로 검색했을 때 보통 이 정도 나온다 쭉 읽어보고 당연히 이해가 안된다. 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aV1GcmMh-ME

 

핵심은 [1] 에서 소개한 영상에서 힌트를 얻는 것인데 남들이 원하는 혹은 진행한 프로젝트는 어떻게 생겼나 ? 를 연습하는 과정이 된다는 것. 사실 본인 또한 진행중인데 정확히 이걸 이행하는건 여러분이 학원에서 진행할 프로젝트에선 다소 어렵고 불가능에 가깝다. 이걸 진행할 능력과 팀원이 있다면 이미 학원 수준이 아니다..

 

-

 

하여튼 여기서 모티브를 얻어 주제 선정에 앞서서 해야할 일

 

1. 구조

 

구글엔 선생님 혹은 선배님들이 어떤 키워드를 봐도 많다

 

요즘 제일 쉽게 찾아가는 선생님

 

일단 이 구조를 학원에서 가르쳐는 주는데 명확히 여러분이 이해할 때 까지 기대해 주지 않고 스스로 공부하고 납득할 수 있어야 한다. 단순히 따라하고 반복하는걸로 이해할 때 까지 시간을 보내는건 너무 아깝고 학원 기간은 짧다..

 

이 구조를 이해하면 최소한 jsp로 구성된 페이지에서 jsp로 이뤄진 페이지로 넘어가는 걸 MVC 패턴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혹은 그런 환경 설정은(보통 학원에서 뭔지 모르고 따라했을 것) 되어 있을 것이다

 

 

2. 기능

이런 오타는 무식해 보이게 한다

 

댓글(게시판), 회원가입, 구매 기능이 한 화면에 있다

 

 일단 여러분 (학원에서의) 파이널 프로젝트에서 어떤 기능을 활용하고 싶은지보다는 어떤 기능을 활용할 수 있을지 그리고 어떤 기능을 공부하면 좋을지 생각해 본다 그리고 그걸 학습한다는게 핵심

 

예를 들면 구매 기능 관련해서는 어디든 쓸 수 있고 보통 학원에서의 마지막 프로젝트 예제들 보면 구매 기능은 죄다 들어있다

이런 식으로 이 사람은 이렇게 했네? 하면서 코드를 분석해 보면 사실 전혀 어렵지 않다

 

한편 이제 이해하고 나면 단순한 기능 구현은 정말 아무 문제도 아니라는 걸 느낄 수 있을 것이다. 이제 그 다음이 문제겠지

 

이 중 학원에서 쓴 걸 활용하면서 참고할 수 있는것은?

 

대체로 학원에서 카카오페이 API (테스트용)를 활용해보는 등 한번쯤 써 볼 것이다 아, 이게 데이터를 이렇게 다양하게 받아오는구나 정도의 개념은 알고 있을 것 (이 부분은 따로 한번 쓰면서 정리해봐야한다 ㅡ 할 예정)

아예 안했다면 모를까 들었는데 무슨 소린가 싶다면 지금이라도 학습하길 바란다 어렵지 않아서 공부하는 재미를 뒤늦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

data.go.kr

 

그리고 한번 어떤 데이터들이 있나 들여다보고 이제 아이디어를 얻어보자

 

결국 이게 전부다 (지금 겉핥기를 하고 있지만)

 

3. ERD 구성

https://www.erdcloud.com/

 

ERDCloud

Draw ERD with your team members. All states are shared in real time. And it's FREE. Database modeling tool.

www.erdcloud.com

 

학원에서 마지막 파이널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전 보통 DB 개념, 그리고 자바와의 매핑까지 어느 정도는 공부가 되었거나 될 예정일텐데 (되었어야 함) 이제 우린 어떤 기능을 쓸 거고, 어떤 데이터를 사용해서 이런 프로젝트를 구상해야겠다 생각이 들 것이다

 

기능에 맞게 구글링 혹은 GPT 선생님에게 선례를 물어보면서 테이블과 컬럼을 구상해보면 조금 더 구성이 구체화되고 어떤 식으로 화면에 띄워봐야겠다는 아이디어가 뇌에서 시각화될 것이다

 

4. 실제 시각화

 

4 - 1 . 템플릿 가져와서 고치면서 최대한 원하는 형태의 프론트단을 만들어내고 구현할 것

4 - 2 . 학원의 프론트엔드 수강생이 따로 있어서 팀 프로젝트를 하는 경우

 

우리 학원에는 따로 프론트엔드 수강생이 없고 명목상 풀스택 과정이기 때문에 어떤 면에선 부럽고 미지의 세계라 두렵기도 하다.

한편으로는 실제로 내가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훨씬 효과적인 학습 기간이 되지 않을까 기대도 되고.. 결론적으로 어떤 식으로 실제로 구현될지 눈으로 보이게 만들면서 그 아래에 어떤 데이터가 숨겨져 있고 어떻게 처리할지 고민하는게 학원 단계에서의, 구현에 치중하는 파이널 프로젝트 구상일 것이다

 

-

 

단순히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선에서 벗어나 어떤 사람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만드는 걸 생각한다면 기능 구현에서 디테일을 살리고 마치 실무를 경험하는 기분을 아주 일부 느낄 수 있지 않을까 ㅡ

 

-